본문 바로가기

Welcome to the post-text future (NY times) Photos, videos, graphics and more are taking over our online experience. And in response, companies and publishers are all pouring money into developing even more multimedia for us to consume. How do we know this? These numbers tell the story. — Farhad Manjoo https://www.nytimes.com/interactive/2018/02/09/technology/the-rise-of-a-visual-internet.html Welcome to the Post-Text Future The internet .. 더보기
기업형 실전 유튜브 교육 기업에서 바로 써먹는 '실전형 유튜브 교육' 탄생. 기업이 유튜브 채널을 통한 소비자 소통을 강화합니다. 정부부처는 물론 공공기관도 유튜브 채널을 강화해 국민과 소통을 확대합니다. 최근 코로나19로 '언택트' 마케팅이 강화되는 상황에서 유튜브 채널을 활용한 홍보·마케팅 요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이런 이유로 기업과 기관 홍보·마케팅 담당자에게 유튜브를 활용한 대 고객 소통 역량 강화가 요구되고 있습니다. 문제는 기업이나 기관 담당자에게 적합한 맞춤형 유튜브 활용 교육이 없다는 것입니다. 지방자치단체 등 기관에서 유튜브 교육을 실시하고 있지만 기업이나 기관담당자가 배우기에는 수준이 적합하지 않다는 지적입니다. 민간 교육기관은 수익 확보를 목표로 하는 개인 유튜브 활용 교육에 집중돼 있습니다. 문제 해결을 .. 더보기
2020년 415 총선은 유튜브 선거전 마라톤 중계에 예능, 토크쇼까지…유튜브식 선거전이 벌어졌다. 정치권에서는 유튜브 전쟁이 한창이다. 몇 년 전부터 온라인 소통을 강화해온 후보들부터 정치신인에 이르기까지 정치권 곳곳에서 채널을 운영하는 모습이 눈에 띈다. 선거철을 앞두고 개별 후보의 이름으로 운영되는 채널이 다수 등장한 것도 이 같은 배경과 무관하지 않다. 그러다 보니 과거 찾아보기 힘들었던 방식의 선거운동이 등장하는 등 후보별 채널 활용 모습도 각양각색이다. 일부 후보는 유튜브보다 다른 플랫폼에 힘을 쏟는 모습이 포착된다. 정의당 심상정 상임선대위원장(경기 고양시갑)은 페이스북 팔로어가 35만 명에 달하는 SNS 인플루언서지만 유튜브 구독자 수는 2만 명 수준에 그친다. 영상 자체도 지역구에 대한 소식을 전하는 데 집중하고 있으며 텔레그.. 더보기
영상 콘텐츠의 적절한 길이 영상 콘텐츠의 적절한 길이는 어느 정도일까? 최적의 영상의 길이가 3분이다. 모 채널에서는 12분이다 라는 말이 많다. 과연 어떤 길이가 가장 어울릴까. https://21ctheageofdiscovery.com/100?fbclid=IwAR1ymlUVLzHf8EXHuXMV591kEI0B9Sa5Da70eF0UYiBpmhapvdLpcoVX-RY 영상 콘텐츠의 적절한 길이는 어느 정도일까? 최적의 영상 길이가 3분이라고? 유튜브가 새로운 마케팅 공간으로 크게 주목받으면서 영상 제작자들뿐 아니라 마케터에게도 적절한 영상 길이에 대한 논의가 화두가 되고 있다. 영상은 배너와 텍스트와는 달리 '시.. 21ctheageofdiscovery.com 더보기
독특한 동영상 올리니 마구 클릭하더라 CNN 이름 뗐지만… 독특한 동영상 올리니 마구 클릭하더라.. CNN 자회사 GBS의 코너 볼스·드루 비비 총 영상 조회 수 41억회 이상, 유튜브·인스타그램 등 소셜미디어(SNS) 팔로어 수 1200만명 이상…. 미국 미디어 회사 CNN의 자회사인 '그레이트 빅 스토리(GBS)'의 성적표다. GBS는 2015년 앤드루 모스(Morse) CNN 부사장 겸 디지털 총괄 책임자와 크리스 베렌드(Berend) CNN 디지털비디오 수석부사장이 공동 창립한 디지털 영상 제작 업체다. http://weekly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20/03/19/2020031905553.html 더보기
훈픽처스, 계원예술대와 2D 버츄얼 유튜버 <풍운아 홍길동> 개발 훈픽처스는 계원예술대학교와 2D 버추얼 홍길동을 개발했다. 2D, 3D 캐릭터에 익숙한 일본의 경우 버추얼 캐릭터 시장이 이미 많은 부분에서 활성화 되고 있다. 리얼타임 기술의 발달과 디지털 콘텐츠의 진화는 다양한 유형의 캐릭터로 어느 새 우리 곁에 자연스럽게 실제하고 있으며 실시간 렌더링 기술, 다각화 된 매체환경은 현실과 가상현실의 경계를 허무는 다양한 실감콘텐츠를 개발하며 더욱 확산될 전망이다. [관련기사] http://www.dh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20220&fbclid=IwAR29XKJs9rFn4qsJH7MylZ5-YhF0aSbMlAt2s99G5xDHM6BmbX9h-H1E62g 계원예술대-(주)자이언트스텝, ‘2019 콘텐츠원캠퍼스구축운영 지원.. 더보기
"국내 검색 플랫폼 1위 네이버…2위 유튜브" ‘메조미디어 2020 업종 분석 리포트’에 따르면 국내 플랫폼 이용자들은 8개 업종 모두에서 주요 검색 플랫폼으로 ‘네이버’를 사용한다고 답했으며 이어 ‘유튜브’를 자주 활용하는 것으로 응답했다. 메조미디어 2020 업종분석 리포트. 유튜브 검색은 약진하고 있다. http://naver.me/GtM5ThJI "국내 검색 플랫폼 1위 네이버…2위 유튜브" (지디넷코리아=안희정 기자)디지털 마케팅 솔루션 기업 메조미디어(대표 이성학)는 국내 검색 플랫폼 1위가 네이버로 조사됐다고 23일 밝혔다. 이는 2월 만 19세부터 49세 사이의 서울 및 5대 광역시 거주자 중 식 n.news.naver.com 디지털 마케팅 솔루션 기업 메조미디어(대표 이성학)는 국내 검색 플랫폼 1위가 네이버로 조사됐다고 23일 밝혔.. 더보기
훈픽처스 김남훈 대표, 진정성있고 밀도 높은 콘텐츠가 필요 김남훈 교수는 “모바일에서는 컷이나 구성이 상대적으로 자극적일 수밖에 없다. 이미 광고 콘텐츠에 지친 시청자가 많다. 보다 진정성 있고 밀도 높은 콘텐츠로 거듭나야 더욱 각광받을 수 있을 것”이라고 꼬집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24/0000064654?fbclid=IwAR36p-ETjV-VUm6CUBdFnXGi9bV73-olj4URcYhnNuBs-bw5UxLbqPGGbLM ‘숏폼(short form) 콘텐츠’가 대세-10분 웹드라마·15초 짤…1020 스낵 먹듯 # 가장 먼저 결혼하는 사람에게 40억원을 주겠다는 아버지의 청천벽력 같은 미션 수행을 위해 비혼주의자 ‘주연’, 천방지축 ‘주남’, 잘생긴 고자남 ‘주동’ 3남매가 벌이는 로맨스를 다룬 웹드라마 ‘연남..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