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유튜브 매거진

1인미디어 농튜버-'청도달콤한농장'


1인미디어의 시대. 

농촌이라고 빠질 수는 없다. 


유튜브 채널이 우후죽순처럼 나오고 있지만, 커머스로 이어진 사례는 많지 않다.

여기 청도의 한 젊은 농부가 유튜브를 통해서 수익까지 연결된 사례가 있어 화제다.





경북 청도군 매전면에서 유튜브 ‘청도달콤한농장’ 채널을 운영하는 박광묵(36)씨.

2019년 1월 현재 그의 채널 '청도달콤한 농장은 2만 5천명을 기록중이고 매달 가파른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유튜브 ‘청도달콤한농장’ 채널을 운영하는 박씨는 2017년 3월 처음 동영상을 올렸다. 귀농 10년 차를 맞아 변화를 꿈꾸던 박씨는 일기를 쓰듯 농사짓는 일상을 영상으로 기록하기 시작했다. 그는 “내가 농사하면서 얻은 지식을 남들과 공유하고 자식들한테 ‘아버지가 이렇게 일하는구나’를 보여주고 싶었다”며 “처음에는 카메라 울렁증이 있어서 화면 밖에서 설명만 하고 작업 모습이나 작물만 촬영해서 올렸다”고 말했다.


출처: http://www.segye.com/newsView/20180914004392



그의 촬영 장비는 단출하다. 삼각대와 스마트폰 갤럭시 노트7이 전부다. 


촬영한 영상을 컴퓨터로 옮겨 간단한 영상 편집 프로그램인 윈도 무비메이커로 배경음악과 자막을 삽입했다. 박씨는 “내가 아는 것을 설명하고 작업 모습을 보여주면 되니까 촬영은 어렵지 않다”며 “영상 잘라 붙이고 자막을 넣는 편집에 시간이 오래 걸린다”고 설명했다. 


박씨는 1년 6개월 동안 매주 최소 2∼3편의 영상을 꾸준히 올렸다. 농기계 사용하는 법, 농사 팁 등 자신의 일상을 꾸밈없이 유튜브에 올리자 구독자는 점차 늘었다. 현재 농업 관련 유튜브 채널을 운영하는 일반인 중 가장 많은 구독자를 보유하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


유튜브 구독자가 늘어나면서 박씨의 일상도 달라졌다. 판매를 권유하지 않아도 박씨의 복숭아와 자두를 사고 싶다는 연락이 끊이질 않았다. 올해 박씨 밭에서 기른 복숭아와 자두 1000상자는 모두 직거래로 판매됐다. 유튜브 영상을 보고 박씨가 사용하는 장비나 농약을 물어보거나 농사·귀농 상담을 요청하는 전화가 하루에 수십통이 걸려온 적도 있었다. 지난달에는 미국의 한 교포가 애청자라며 박씨를 만나기 위해 농장까지 찾아왔다. 박씨의 아내 조아라(34)씨는 “큰아들 학교에서는 남편이 이미 유튜브 크리에이터로 유명인이 됐다”며 “힘들게 농사일하고 나서 밤에 편집한다고 끙끙대는 거 보면 안쓰럽기도 하지만 진정성을 갖고 하는 모습은 보기 좋다”고 남편을 응원했다. 








현재 유명한 농튜버는 '청도달콤한농장' '성호육묘장’ ‘날라리농부’ ‘버라이어티 파머’ 등이다. 


농튜버 채널 모두는 기본적으로 농사짓는 모습이나 농사에 필요한 기계를 작동하고 시설을 설치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구독자 1만7968명의 버라이어티 파머 채널은 청년 농부 오창언(24)씨가 운영 중이다. 강원 인제군에서 1만6000여㎡(약 5000평) 규모로 농사를 짓고 있는 오씨는 농사를 경험해보지 못한 10∼20대를 타깃으로 작물 재배와 수확 과정, 농촌 생활, 농산물 유통 과정 등을 친절하게 안내한다.


지난해 12월 인천에서 경남 거창으로 귀농한 김순자(42·여)씨는 ‘지안농원TV’ 유튜브 채널을 운영 중이다. 귀농하면서 겪는 시행착오를 영상으로 기록해 알리자는 취지에서 시작한 김씨의 채널은 현재 구독자가 4000명을 넘어섰다. 농사·시골 생활·건강밥상이라는 테마별로 콘텐츠를 제작해 귀농을 준비 중인 중장년층에게 호응이 높다. ‘B급 농업예능’을 내세운 ‘농사직방’은 청년 농부 서종효(32)·강영수(40)·유경호(28) 이장이 개설한 채널이다. 이들은 대구 수성구에서 농촌체험 프로그램과 도시농부 교실 등을 운영하는 ‘희망토 농장’을 운영하며 농사직방을 통해 농사의 즐거움을 예능 형식으로 풀어낸다.


청도달콤한농장 채널 시청자는 45세 이상이 전체의 85%를 차지한다. 24세 미만 시청자는 2%에 불과하다. 지안농원TV 채널도 비슷하다. 핵심 시청자는 만 55∼64세로 전체 시청자의 44%를 차지한다. 만 45세 이상 시청자 비중은 94%에 달한다. 화려한 편집과 세련된 영상보다는 있는 그대로의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 중장년층에게 신뢰를 주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